본문 바로가기

IT

[IT tips] Blog 검색엔진 등록, Sitemap 등록

 근래에 Tistory로 Blog를 옮겼다. 시작한지 그리 오래되진 않았지만, 글의 제목을 Google에 검색해도 검색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찾아보니, 문제는 바로 google 검색 엔진 등록 여부 였다. 컨텐츠가 풍부하고 글이 많다면 구글 search 엔진이 알아서 등록해 주겟지만, 미약한 블로그에는 검색 엔진 등록으로 좀더 site 노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구글 검색 엔진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Google Search Console"로 구글링 해본다. Search Console에 들어가보자. 시작하기를 누른다. 

 

좌측 상단의 메뉴 버튼 내에 속성 추가 버튼을 눌러 홈페이지를 추가해 보자.

 

URL 접두어를 선택하고,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https://상세주소.도메인 (예 https://mysite.tistory.com) 

 여러가지 방법중에 아래의 html 태그를 넣는 방법이 제일 편리한 방법

 

Tisroty 설정 메뉴에서 스킨 편집 버튼을 누르고 

 

 스킨 편집 버튼을 누른후에 아래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해보자. 

 

<head>와 </head> 사이에 위에서 생성한 heml tag를 붙여 넣는다. 

 

<html>
<meta 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something..">
</html>

 

이제 site map을 생성해 보자. 많은 블로그들이(xml-sitemaps.com) 등에 접속하여 수동으로 sitemap.xml을 생성하는 블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데, 수동으로 sitemap을 생성할 경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줘야 하고, sitemap의 주소도 https://상세주소.도메인/sitemap.xml 형식이 아닌 파일 첨부 형식으로 이루어져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이트에서 제공해 주는 자동 sitemap.xml을 사용하게 되면 이런 문제점들이 모두 사라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tistory 관리에 블로그를 클릭하면 위에서 설명한 사이트맵 주소가 보일 것이고, 그냥 이것을 사용하면 되는 거다. 

 

 

구글부터 사이트 맵을 등록해 보자. Google Search Console에서 sitemaps를 누르고 sitemap제출 상태가 성공이면 모든 절차는 완료된다. 

 

그럼 네이버는 어떻게 등록할까? Search Advisor 사이트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진행한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naver.com

 

이용 약관에 동의하고, 진행해 보자.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기를 클릭해 보자.

 

사이트 등록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넣어본다.

 

Google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이트 소유 확인을 해야 하고, HTML 태크를 복사에서 <head> section에 붙여 넣어야 한다. 위의 과정에서 설명한 그대로 진행하면 된다. 

 

아래와 같이 확인 메시지가 떠오르게 되고 사이트 확인을 마칠 수 있다.

 

 

사실 모든 사이트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좋겠지만, Google과 naver 검색이 Main이므로 여기까지 진행하도록 한다. 혹시나 Bing이나 다른 검색 엔진에 등록하기 원하시는 분들은 위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하면 될 것이다.